SturdyCobble의 마인크래프트/게임 블로그

반응형
wallel의 Square입니다. 거기에 약간의 수정을 더했습니다.


320x100
반응형

 


빌드크래프트라는 덮개라는 것이 있습니다. 조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기 모래는 원하는 블럭이면 됩니다.


소비 전력은 160~8000 RF수준입니다.



파이프에 대고 우클릭 하여 설치합니다. 덮개를 들고 Shift+우클릭시 제거합니다.



이렇게 파이프의 흐름을 끊습니다.(Hollow)가 붙지 않은 것만 해당합니다.


이렇게 파이프 시스템을 숨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Hollow)가 붙은 것은 구멍이 있어 파이프가 연결됩니다.


이렇게 연결하는게 가능합니다.



 다음 빌드크래프트 글부턴 드디어 로봇입니다.









320x100
반응형

 




이번에는 뭐가 많지만 다 쉬운거라서 4개의 기계(아닌 것도 있지만)을 한꺼번에 소개하려 합니다.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 조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나무는 어떤 걸 쓰든 상관없습니다.



내부 인터페이스는 보다시피 윗줄에는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저 아이템은 가짜 아이템으로 표시만 됩니다.


 그리고 아이템을 흘려보내면 등록된 아이템은 아래줄에 쌓이고, 아니면 튕깁니다.




 나무 파이프등으로 안에 쌓인 걸 뽑으면 됩니다. 이 필터 버퍼는 쓸 일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자동 작업대는 자동 작업대입니다.






위와 같이 생겼고 내부 인터페이스는 그 아래와 같습니다. 조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합법에서 보다시피 전기가 없이 작동합니다.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합이 되는 시간은 화로보다 1.5배정도 더 느립니다.






  Recipe Packager는 조합을 자동화 할때 씁니다. 약간 나중에 추가된 듯합니다.



조합법입니다.







내부 인터페이스는 위와 같습니다. 옆의 3*3칸은 클릭하면 하얗게 되고, 아이템을 칸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옆에는 종이를 넣을 수 있고 3*3칸 아래 기다란 칸에는 아이템을 넣습니다.


 저기 왼쪽 조합칸에는 조합법을 등록합니다. 그리고 종이를 넣고 아래 재료를 두면 재료와 조합법을 합쳐 패키지를 만듭니다.





 남은 빈칸을 흰색으로 하지 않으면, 그 자리에 재료 아이템중 아무거나 가져다 쓰는 참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참사가 아닐 수 도 있고, 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패키지는 아래와 같이 Stamping Table에 씁니다.




조합법:


 

내부 인터페이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왼쪽칸에 패키지를 넣으면 소량의 에너지를 쓰고 결과를 내놓습니다. 막대를 만드는 경우 800RF정도 듭니다.


 우측 하단 칸의 용도를 아시는 분은 댓글에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