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rdyCobble의 마인크래프트/게임 블로그

반응형


이번엔 벌목입니다. 위와 비슷하게 설치합니다. 농사와 거의 비슷합니다. 여기에 필요한 로봇은 Planter, Picker, 벌목가로봇, Leaf cutter 로봇입니다.



상자는 가장 간단하게는 2개를 설치해줍시다. 하나는 그냥, 나머지는 입력 파이프여야 합니다.


상자는 아래와 같이 맞춥니다.


(아이템을 줄곳,나무파이프등이 붙은 곳-오른쪽 위의 행동란은 Provide Items)

(아이템을 받을곳-오른쪽 위의 행동란은 Accept Items)

위는 로봇 설정으로 영역은 나무로 설치한 모든 부분을 Map Location으로 표시합니다. 나무의 크기는 예상할수 없으므로 지역 플래너로 만드는게 좋습니다.


이제 아이템을 줄곳에는 가위 여러개, 도끼 여러개, 묘목을 둡니다.



그럼 알아서 작동하는데, 영역을 좁게 하면 위와 같이 나뭇잎이 덜짤릴 수 있습니다. 나뭇잎은 모아서 장식을 하거나 아니면 그냥 자동으로 버리게 하면 좋습니다. 참고로 일정확률로 묘목을 떨굽니다.



이렇게 큰나무도 상관없습니다.





+아래 파이프 이름 번역 누가 한거죠ㅋㅋ


 


320x100

반응형

 



 


이번에는 자동 농사를 해보겠습니다. 필요한 로봇은 Planter, Farmer, Harvester, Picker입니다.



대략적인 형태는 위와 같습니다.


전력 파이프에 도킹 스테이션과 로봇4개를 설치하고 상자 3개를 설치합니다. 그리고 모든 상자와 밭을 둘러싸는 영역을 Map Location에 저장합니다. 저의 경우 위와 같이 랜드마커를 이용했습니다.


주의할점은 밭말고는 흙블럭이면 안됩니다.



도킹스테이션 부분에는 각각 석영게이트등 행동란이 2칸이상씩 붙은 게이트를 준비합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아까 만든 Map Location을 집어넣고 Work in Area를 해줍시다. 조건부분은 레드스톤 신호가 켜졌을때/꺼졌을때입니다.

 


조건줄이 3줄 이상이라면 위의 것을 한 게이트에 넣었겠지만 그냥 파이프에 뒷면에 레드스톤 신호가 꺼져있을때 로봇을 Wake Up, 깨우도록 했습니다.



상자 3개는 두개는 나무, 한개는 그냥 파이프를 붙였습니다. 



나무 파이프를 붙인쪽의 게이트는 상자안에 아이템이 있는 경우 아이템을 제공하도록(Provide Item)



그냥 파이프를 붙인쪽의 게이트는 상자안에 공간이 있는 경우 아이템을 받아드리도록(Accept Item)



나무 파이프를 붙인 쪽의 파이프는 위와 같이 괭이와 씨앗을 넣었습니다.






작동시키면 위와 같이 알아서 씨앗과 괭이를 가져갑니다.



위와 같이 Farmer는 갈고, Planter가 심고, 다 자라면 Harvester가 거두고,이를 Picker가 주어서 가져가게 됩니다.





만약 거두어드린 씨앗을 쓰고 싶으면 위와 같이 에메랄드 파이프등으로 연결시켜서 화이트 리스트에 씨앗을 추가하면 됩니다.





 


320x100

+ Recent posts